기후위기시민선언

기후위기시민서명

우리,
정말로
괜찮을까요?
우리나라 평균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봄철 이상고온 현상이 일어나고 여름 폭염이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가을 태풍이 잦아지고 겨울 한파는 더 거세게 불어닥칩니다. 여느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역시 외면할 수 없는, 기후위기의 강력한 결과를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정말 이대로 괜찮은 것일까요?


더 심화되는 기후위기
더 많아지는
전기 사용
이상기후 현상이 이전과 다른 패턴으로 찾아오고 있습니다. 늦은 장마와 심각한 폭염, 폭우, 한파와 같은 이상기후 현상은 우리들로 하여금 더 많은 전기를 사용하게 합니다. 이 전기는 화력발전에서 60%, 원자력 발전에서 30% 생산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 에너지는 대한민국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86.9%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서울시 전력 자립도 겨우 4%
나머지
96%는 어디서?
인구 밀집도가 높고 온실기체 배출이 많아 열돔현상이 심한 도시들의 경우 전력 소비량이 더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2019년 기준 서울시 전력 자립도는 3.92%입니다. 전력자립도는 해당 지역 내 전력 소비량과 생산량을 비교한 지표입니다. 17개 시·도 중 전력자립도가 두번째로 낮은 지역으로 2019년 기준 서울시 전력 자립도는 3.92%입니다.
서울시 전력 자립도 겨우 4%
나머지
96%는 어디서?
인구 밀집도가 높고 온실기체 배출이 많아 열돔현상이 심한 도시들의 경우 전력 소비량이 더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2019년 기준 서울시 전력 자립도는 3.92%입니다. 전력자립도는 해당 지역 내 전력 소비량과 생산량을 비교한 지표입니다. 17개 시·도 중 전력자립도가 두번째로 낮은 지역으로 2019년 기준 서울시 전력자립도는 3.92%입니다.

신규 발전소로 더 멀어지는 탄소중립
괜찮지 않습니다

2021년,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7기가 건설되고 있습니다. 최근 충남도 신서천과 경남 고성에서 석탄발전소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강원 삼척과 강릉에 건설 중인 신규 석탄화력발전소까지 모두 건설되고 수명연한까지 가동되면 2054년에 이르러야 국내 석탄화력발전소를 문 닫을 수 있습니다.
신규발전소로
더 멀어지는 탄소중립
괜찮지 않습니다

2021년, 신규 석탄발전소 7기가 건설되고 있습니다. 최근 충남도 신서천과 경남 고성에서 석탄발전소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강원 삼척과 강릉에 건설 중인 신규 석탄화력발전소까지 모두 건설되고 수명연한까지 가동되면 2054년에 이르러야 국내 석탄화력발전소를 문닫을 수 있습니다.
지역 주민들을 무시하는
에너지 공급
괜찮지 않습니다

비단 발전소만 문제되는 것이 아닙니다. 대형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지역 곳곳에 초고압 송전탑을 건설하려 하고 있습니다. 초고압 송전탑과 송전선로 건설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을 무시하는 등 주민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에너지 자립을 위한 변화
서울시, 변해야 삽니다

석탄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를 서울 한복판에 세울 것이 아니라면 서울시는 서울 에너지 자립·전환을 해야 합니다. 3.9% 수준인 서울시 전력자립도를 20%, 50%, 100%로 끌어올려야 합니다. 책임이 가장 큰 도시로서 적극적으로 논의에 참여하고 전력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세워야 합니다.
기후위기가 극심해져가는 무더운 여름
우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합니다

함께 해주신 여러분의 목소리는


서울의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기 위해 서울시에 전달될 예정입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및 법률 개정 활동 등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
에너지 자립을 위한 변화
서울시, 변해야 삽니다

석탄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를 서울 한복판에 세울 것이 아니라면
서울시는 서울 에너지 자립·전환을 해야 합니다.
3.9% 수준인 서울시 전력자립도를 20%, 50%, 100%로 끌어올려야 합니다.
책임이 가장 큰 도시로서 적극적으로 논의에 참여하고
전력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세워야 합니다.
기후위기가 극심해져가는 무더운 여름
우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합니다

함께 해주신 여러분의 목소리는
서울의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기 위해 서울시에 전달될 예정입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 및 법률 개정 활동 등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